2016년 2월 20일 토요일

atom emmet HTML 언어설정(language option setting)

atom에서 emmet를 설치하고 HTML문서를 작성할 때

!를 입력하고 Tab을 누르면 기본 틀이 나오는데 작성일(16.2.21)일 기준

2.4.1버전의 emmet는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body>
</html>

아래의 코드가 작성된다.

이 상태에서는 한글 입력이 안된다.

이 때 한글 입력을 하려면 세팅값을 바꿔줘야한다.

아래의 과정을 따라간다.

atom 실행 -> File -> Open Folder 

emmet가 설치된 경로인 C드라이브로 이동 -> Users폴더 -> Administrator(관리자 폴더) -> .atom폴더 -> packages폴더 -> emmet 폴더 -> 폴더 경로 복사




그럼 위의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Ctrl] + [Shift] + [F] 키를 눌러서 전체검색을 한다

검색 키워드는 html:5 을 검색한다



처음에 보이는 코드가 아닌 두번째에 보이는 코드 [835 "html:5": "!!!~~~~]을 더블클릭한다

"html:5":   "!!!+doc[lang=${lang}]",

이런 코드가 있는데 이 코드는


"abbreviations": {
"!": "html:5",
"a": "<a href=\"\">",
"a:link": "<a href=\"http://|\">",
"a:mail": "<a href=\"mailto:|\">",

강조 표시된 부분에서 보듯 !을 입력하면 html:5를 호출한다.

html:5는 "html:5":   "!!!+doc[lang=${lang}]",을 호출하게 되고 여기서 lang은 snippets.json(현재 보고있는 소스코드)의 가장 윗부분을 보면




이런 옵션이 있는데 "lang": "en", 이 부분의 값을 읽어 오는 것이다.


나는 영어 뿐만 아니라 한국어도 입력할 것이므로 "lang": "en, kr", 으로 설정값을 추가해주었다.



요약정리
1. emmet 폴더를 atom에서 연다

2. [Ctrl] + [Shift] + [F] 키를 눌러서 "lang": "en",  을 검색한다

3. "lang": "en",     ->    "lang": "en, kr",    으로 값을 추가하고 저장, 종료 후 atom 재실행

4. 코딩!!!!

atom recommend packages

atom-music
atom-html-preview
autoclose-html
autocomplete-php
autocomplete-python
color-picker
emmet
highlight-selected
indent-guide-improved
minimap
monokai
open-recent
pigments
seti-icons
seti-ui

2016년 2월 17일 수요일

ubuntu linux indent(들여쓰기)

(1) 여러 행 탭 끼워 넣기
: 여러행의 앞부분에 탭을 일괄적으로 끼우거나 제거해야 할 때가 의외로 자주 발생한다.
  그럴 때는 다음 명령으로 해결할 수 있다.

[N]>> 또는 [N]<<

- [N] : 현재 행 이하로 적용할 행의 범위를 말한다.
- >> : 행의 앞에 탭을 하나 더 둔다.
- << :  행의 앞에 있는 탭 하나를 제거한다.

○ [N] 대신 v로 블럭을 잡고 '<' 또는 '>' 키로 탭을 둘 수 있다.



(2) 탭 사이즈 조정
: 리눅스 커널 소스는 기본적으로 탭 사이즈가 8칸이다. 그리고 vim의 기본 탭 사이즈도 8칸이다.
  탭 사이즈와 관련된 vim 변수는 ts, sw, sts 가 있다.

- ts(tap stop) : 문서에 있는 '\t'문자를 몇 칸으로 보여줄지 결정하는 변수
- sw(shift width) : >> 또는 << 키로 탭 사이즈를 조절할때나 인덴트에서 자동 줄맞추기를 할때 사용되는 화면 표시 크기
- sts(soft tab stop) : Tap 키를 눌렀을 때 표시되는 간격을 지정해 주는 변수

○ 탭사이즈 조정 명령
: 명령라인 모드에서 다음과 같이 명령을 차례로 내리면 탭 사이즈가 조정된다.

:set ts=8
:set sw=4
:set sts=4


위 내용을 추가한다.


(3) 자동 들여쓰기
: 라인을 바꿀 때, 커서의 시작 위치를 설정 할 수 있다.

○ cindent
: C, C++, JAVA 스타일의 자동 들여쓰기 활성화. 
  블럭의 처음 시작 및 라인을 바꿀 때 자동 들여쓰기를 해준다.

○ smartindent
: cindent 와 비슷 하지만 #if, #ifdef, #define 등과 #으로 시작하는 전처리기 명령어에 대해서는 자동 들여쓰기를 무시하고
  다음 라인의 첫번째 열로 이동한다.


(4) VI 설정 파일에 적용하기
:  vim에디터 실행시마다 적용되게 하려면 ~/.vimrc 파일에 적용한다.

set ts=8
set sw=4
set sts=4
set smartindent
set cindent

[solved] gcc: error trying to exec 'cc1plus': execvp: No such file or directory

gcc: error trying to exec 'cc1plus': execvp: No such file or directory


I got this error message when I was type 'gcc [input.cpp] -o [output.out]'

It's not correct syntax because 'gcc' is compiler for 'C' language.

'g++' is compiler for 'C++' language.

so, I did these steps.

1. sudo apt-get install g++

2. g++ [input.cpp] -o [output.out]

3. It's working!!

리눅스(Ubuntu 14.04.3)에서 한글(Korean)입력하기

1. System Settings에 들어갑니다.(톱니모양 아이콘)

2. Language Support를 누릅니다

3. Install/Remove Language...를 누르고 Korean을 찾아서 체크, Apply changes 눌러주세요

4. Keyboard input method system에서 IBus로 바꿔주세요

5. Terminal open을 루트권한(su 입력 후 password 입력)을 얻습니다

6. ibus-setup입력 후 yes를 누릅니다.

7. IBus Preferences가 뜨면 Input Method탭에 들어갑니다

8. Select an input method에서 Show all input methods을 누르고 Korean을 찾고 태극문양, 키보드 아이콘 그림을 각각 클릭해서 add시키고 창을 닫습니다

9. System Settings에서 Text Entry를 누릅니다

10. +를 눌러 Korean(Hangul)을 누르고 Switch to next source using:에서 핫키를 등록해줍니다. 저는 Shift+Space 키로 등록했습니다

11. 모든 설정은 끝났습니다. 이제 한글 쓰시면 됩니다

2016년 2월 14일 일요일

GET, POST 방식의 차이

생활코딩 MySQL 수업 중 GET방식을 쓰면 오류뜨던 페이지가 POST방식을 쓰니 오류가 사라졌다. (수업 - https://opentutorials.org/course/1688/9398)

GET과 POST의 차이점이 잘 정리된 블로그...

https://blog.outsider.ne.kr/312

참고하자

cmd(명령 프롬프트)에서 다른 드라이브(D드라이브)로 이동하기



기존 C드라이브 내에서 이동할 때는 cd(change directory)명령어 이후 주소를 입력하면 가능하다
예를 들어 c드라이브 내에서 mysql폴더로 이동할때 cd c:\mysql라고 입력하면 된다


그런데 다른 드라이브에 있는 곳으로 이동하려면??
cd없이 해당드라이브로 먼저 이동 후 cd를 쓴다
예를 들어 d드라이브에 mysql이라는 폴더로 이동하고자 할 때

D: <<- D드라이브로 이동
그러면 C:\> 떠있던 cmd(명령 프롬프트)창이 D:\>으로 바뀐다
이후에는 cd명령어를 이용하면 된다.
cd d:\mysql